반응형
중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 방법을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중용은 편안함과 사랑으로 이루어진 태도를 의미하며, 각 상황과 맥락에서 마음의 중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교의 진리를 습득하기 위해 끊임없는 학습과 관찰이 필요하며, 진정한 사랑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이 중용의 본질입니다. 영상을 통해 중용에 대한 참된 의미와 중요성을 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핵심주제
The essence of 중용 lies in maintaining a balanced state and avoiding extreme emotions.
- It is important to always check whether you are being excessive or deficient in various aspects of life.
- 중용 emphasizes staying in the middle ground to prevent extreme emotions from taking over.
Understanding 중용 as the core of human nature in 유교 philosophy.
- 유교 철학 believes that '인' should always be adaptable and that practicing 중용 leads to inner peace.
- The concept of 중용 in 유교 focuses on maintaining emotional balance and the essence of human relationships.
Practicing 중용 involves actively maintaining inner peace rather than passivity.
- Simply remaining idle can lead to a sense of emptiness, contrasting with the true essence of 중용.
- Embracing '인' through practicing 중용 involves understanding and adapting to different human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Achieving true 중용 requires continuous learning and effort.
- 중용 is not just about loving and treating others well but adapting according to different contexts and perspectives.
- Constantly improving one's level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s crucial in embodying the true essence of 중용.
타임라인
1. 📚 유교의 찐 중용 이해하기
- 중용은 편안함과 사랑을 바탕으로 한 태도를 의미한다.
- 너무 과한 것도, 너무 부족한 것도 피해야 한다.
- 그래서 항상 중간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 과거나 부족한지를 항상 체크해야 한다.
- 덧붙여, 진정한 유교의 중용은 깊이 있는 학습과 관찰을 통해 이해하고 실천해야 한다.
2. 🌟 유교 철학의 이해와 '중용'의 의미
- 유교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학습이 필요하다.
- 유교의 진리는 사랑의 마음(인)에 있다고 설명된다.
- 예의범절(예) 때문에 유교를 혐오하게 되었다는 인식이 있다.
- 시대가 바뀌면서 예의범절(예)도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그러나 사랑의 마음(인)도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3. 😊 유교의 '중용' 개념
- 중용은 항상 가운데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유교에서 말하는 '가운데'는 감정에서의 중심을 의미한다.
- 극단적인 감정 상태, 예를 들어 큰 기쁨이나 큰 분노, 우울, 불안 등은 중심에서 벗어난 상태로 본다.
- 감정이 중심에 있을 때는 가장 편안한 상태로, 짜릿하지도 화나지도 우울하지도 불안하지도 않은 상태이다.
- 현대적으로는 세로토닌이 나오는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4. 😊 중용의 올바른 이해와 실천
- 중용은 강렬한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자세를 의미한다.
- 중용을 처음 접한 사람들은 흔히 '그냥 가만히 있어라'는 식으로 오해하곤 한다.
- 그러나 실제로 마음의 중심을 지키려면 열심히 움직여야 한다.
- 아무것도 하지 않고 침대에 누워만 있는 것은 반-중용으로, 이는 공허함을 느끼게 할 가능성이 크다.
- 진정한 중용을 실천하려면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마음의 중심을 유지해야 한다.
5. 😊 중용과 인의 관계
- 유교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이며, 중용은 이를 위한 태도이다.
- '인'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져야 하며, 항상 중용을 실천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 예수님과 부처님은 100% 인한 사람으로, 공자와 소크라테스는 약 85% 인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 '인'은 인간관계를 뜻하며, 사랑과 의지, 협력 등을 통해 편안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인간은 서로 간의 관계가 잘 유지되어야 편안함을 느끼며, 이는 인간의 본능적인 운명이다.
6. 😊 중용과 인간의 본질
- 중용은 유교의 핵심이 아니라 인간을 이해하는 핵심이다.
- 사람마다 편안함을 느끼는 방식이 다르다. 그래서, 사랑하는 것이 불편한 사람도 있다.
- 히키코모리가 느끼는 편안함은 실제로는 안전에 가깝다. 그러므로,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 인간은 99%의 공통점을 공유한다. 그래서, 다양성을 존중하면서도 공통점을 인식해야 한다.
- 히키코모리는 인터넷이나 매체를 통해 간접 경험을 하며 사랑을 소극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이는 인간관계를 줄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안전을 추구하는 행동은 불행한 삶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심리학자 아들러는 안전을 추구할수록 불행해진다고 말했다.
7. 🌟 중용의 본질과 학습 방법
- 중용은 편안함을 추구하는 자세이며, 이는 사랑할 때 나온다.
- 조선시대 선비들은 중용을 이해하기 위해 십수 년 동안 공부했다.
- 유교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을 읽어야 하며, 이는 끊임없이 배우고 수양하라는 내용이 핵심이다.
- 우리는 흔히 뭔가를 '알았다'고 착각하지만, 앎에도 level이 있다.
- 그러므로, 중용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끊임없이 배우고, 앎의 level을 계속해서 올려야 한다.
8. 😊 중용의 본질과 실천
- 중용은 단순히 사람들에게 잘해주고 사랑만 해주는 것이 아니다.
- 각 상황, 맥락, 위치, 시간에 따라 중용의 중심은 달라진다.
- 그러므로 인간의 본질, 상황과 배경, 나와 너를 확실히 알아야 진정한 중용을 실천할 수 있다.
- 사랑과 헌신을 잘못 이해하면, 오히려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괴롭게 만들 수 있다.
- 아무런 의지나 철학 없이 무조건적으로 남에게 맞추고 퍼주는 일은 중용이 아니다.
9. 💡 중용의 진정한 의미와 실천 방법
- 단순히 "나를 사랑하고, 남을 사랑하라"는 표현은 진리가 될 수 없다.
- 히틀러를 지지한 독일 국민들은 자신과 이웃을 사랑했지만, 그 결과는 인류 역사상 가장 불편한 일이 되었다.
- 사람마다 앎의 수준이 다르며, 짝사랑이나 나르시시스트 부모의 사랑은 진정한 편안함과 거리가 멀다.
- 선생님이 제자를 가르치는 것은 사랑의 방식이지만, 연인이나 친구를 대할 때는 방해가 될 수 있다.
- 부모에게는 이해와 보듬는 것이 사랑이지만, 때로는 혼내는 것이 사랑이 될 수 있다.
- 단순한 말이나 규칙으로는 복잡한 삶의 본질을 이해하기 어렵다.
10. 😊 중용의 참뜻과 실천 방법
- 중용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마음의 중심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 앎의 수준을 의심하고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
- 사랑으로 마음의 중심을 지키고 편안함을 느껴야 한다.
- 단순한 요약만으로는 깊은 이해를 얻기 어렵다; 그러므로 끊임없이 되짚어야 한다.
- 진정한 중용을 실천하려면 사랑에서 멈추지 말고 앎의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 끊임없이 앎의 수준을 높이면 진정한 사랑의 본질을 발견할 수 있다.
- 그러므로, 어떤 상황에서도 주저 없이 마음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https://youtu.be/AG5-E8D3auA?si=U4IcIT2wuf50-9ND
반응형
댓글